내용~~~~~~~~~~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오는 6일 오후 2시 인공지능(AI)·확장현실(XR) 등 디지털 기술을 융합해 산업 전반의 혁신을 주도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가상융합산업(메타버스산업) 진흥을 위한 ‘2025년 메타버스산업 통합 사업설명회’를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3층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메타버스산업 기업육성 및 글로벌 진출, 인력양성, 인프라 분야 등 2025년도 지원사업 소개와 함께 ‘가상융합산업 진흥법’에 따른 제도적 지원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AI와의 결합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메타버스산업에서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메타버스 기업육성 및 해외 시장 진출 지원, 가상융합산업 기술 혁신과 청년 창업을 이끌어갈 전문인력 양성, 메타버스 서비스·콘텐츠 발굴 및 실증을 위한 제작 인프라 활용 지원, 관련 법제도 정비 등 전방위적인 지원을 추진한다.
먼저는 기업의 개발 역량 확보와 실증 사례 축적을 위한 산업융합형·기술선도형 메타버스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 11개 과제와 다양한 재난·사고를 예측·대응하는 AI·메타버스 기반 재난안전관리 시스템 개발(충청권 4개 지역)을 지난해에 이어 지속 지원한다. 해외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디지털콘텐츠 기업을 올해도 신규 선정해 수출역량 강화 및 판로개척 등을 지원한다.
AI 융합 디지털콘텐츠 유망기업의 북미, 중동, 아시아 등 주요 시장 수출 및 해외진출 확대를 위해 수출 컨설팅·교육 및 현지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는 수출 유망 강소기업 육성(19개사 내외), 맞춤형 바이어·유통채널 발굴 및 비즈니스 매칭 등을 지원하는 글로벌 홍보·마케팅 지원(17개사 내외), 주요 전시 참가를 통해 권역별 판로 확보를 지원하는 글로벌 마켓 확대(30개사 내외)를 체계적으로 추진한다.
기업 간 협력 기반의 융합 프로젝트(3개 프로젝트 내외)를 대상으로 현지화 및 신규 수요처 발굴과 동반 수주 활동 등 전략적 수출 지원을 통해 수출 역량 강화도 추진한다.
인력양성 측면에서는 기업 현장 수요 기반 재직자 대상 역량 강화 교육(500명), 메타버스 서비스‧콘텐츠 개발 및 창업·사업화 지원을 위한 석·박사 과정생 중심 메타버스 랩(총 4개교, 2025년 신규 1개교), 청년 메타버스 개발자·창작자를 양성하는 메타버스 아카데미(140명), 메타버스 산업을 선도할 고급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메타버스 융합대학원(총 8개교) 운영 등을 통해 실무형 전문인력부터 융합형 고급인력까지 체계적으로 양성한다.
아울러 가상융합산업 진흥법 제정에 따라 지역별 가상융합산업 진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법적 근거를 갖춘 지역별 가상융합산업지원센터를 지정하고 메타버스 서비스·콘텐츠 제작 지원 및 실증·테스트 등을 위한 다양한 인프라도 운영한다.
기업지원 통합 거점시설인 메타버스 허브센터(판교·서남권)·KoVAC(상암)·메타버스 지원센터(13개소), 홀로테크 허브(전북 익산) 등 특화 지원시설을 통해 메타버스 콘텐츠 실증과 테스트 등을 지속 지원한다. KoVAC(상암, 68개실), 디지털콘텐츠성장지원센터(안양, 27개실), 메타버스 허브(판교, 24개실)의 기업 입주 공간 제공을 통해 AI, 메타버스 등 디지털 신산업 분야 유망 중소기업 등의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개발 측면에서는 AI 등 디지털 혁신기술 기반의 실감 콘텐츠 원천 및 응용 기술개발, 공간컴퓨팅 환경에서 고도화된 시각 및 촉각을 구현하는 초감각인지 공간컴퓨팅 기술개발, 입체 정보의 획득·처리·가시화 등을 구현하는 홀로그램 기술개발 등 총 29개 과제를 지원한다.
저변확대 등 기반조성 측면에서는 메타버스와 관련된 법령 해석이 모호할 경우 관계부처 협의 등으로 이를 명확히 하는 ‘임시기준’ 제도를 통해 시장 활성화를 본격 지원하며 발전적인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을 위한 상시적인 현장 의견 수렴 및 대국민 인식 확산을 위한 다양한 행사도 추진한다.
민간 주도의 산·학·연·관 협력 네트워크인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운영을 지원하고 메타버스 기업의 애로사항 해소와 공정거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통합원스톱창구인 ‘메타버스상생협력지원센터’도 상시 운영한다.
코리아 메타버스 페스티벌(KMF), 메타버스 개발자 경진대회, K-해커톤 대회 등 일반 국민들도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연중 개최해 메타버스 산업의 미래 비전에 대한 대국민 인식 확산에도 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황규철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가상융합산업은 다양한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바탕으로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확장해 나가고 발전된 AI 기술과의 결합이 촉매제가 돼 가상융합산업의 재도약이 이뤄질 것”이라며 “가상융합산업 진흥법을 통해 새롭게 도입되는 제도적 기반을 발판 삼아 국내 기업이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기업들의 혁신적인 도전과 성장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천지일보 / 황해연 기자
원문 :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3241578